요 근래
아이폰이니 안드로이드니 갤럭시니.... 뭔 보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소리 듣는분들을 위해
스마트폰 OS와 어느것들이 있는지! 간단하게 개념정리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보도록 할게요~!!
사진은 iOS를 탑재한 대표적인 기기인 iPhone4 입니다.
iOS는 애플사에서 제작한 OS로써, 자사제품에만 탑재하는 폐쇄성이 특징입니다.
또한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완성도와 환상적인 최적화는 타 스마트폰 유저들이 부러워하는 iOS의 최고 강점입니다.
사실 iOS가 최적화가 뛰어난 이유는
애플은 iOS를 폐쇄적으로 자사제품에 탑재하기때문에 스펙이 항상 일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폰 3G, 아이폰 3GS에서도 iOS가 큰 부담없이 돌아가는 모습을 보시면 그점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또한 iOS는 아이패드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어플의 호환성면에선 엄청나게 뛰어난 강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iOS 4부터는 공식적으로 배경화면 기능과 멀티태스킹 등을 지원하므로써 보다 빠르고 아름다운 감성돋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요.
또 다른 iOS 탑재 기기인 iPad와 iPod Touch입니다.
또한 App Store를 통해 고품질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OS에도 단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동기화.....
아이튠즈나 카피트랜스 등을 이용해 음악과 비디오를 계속해서 동기화 해 줘야하며
실수로 친구집에 가서 USB를 꽂았는데 아이튠즈에서 "수동으로 파일관리"가 체크되지 않은걸 까먹고 꽂아서 방치하는순간
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엉
됩니다... 네...
여튼 뭐 이런 귀찮은 단점만 없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은 OS라고 생각됩니다.
현재 iOS는 iOS 5 Beta6가 테스트중이며 iOS 4.3.5가 최신버전이라고 합니다.
뭐 우리나라에서 제일 유명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두개 뽑으라면 이쯤 되겠네요...
삼성전자 갤럭시S와 갤럭시 S2입니다.... 아 형제끼리 이 자리를 먹다니 이런...
여튼 뭐 그렇다 치구요...
Android는 Android사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개발하기 시작한 OS입니다.
근데 얼마전에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먹은 Google(구글)에서 안드로이드사를 인수하고 개발되고있는 OS입니다.
안드로이드는 Linux Kernel 2.6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일종의 리눅스계열의 OS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를 포함한 리눅스계열은 "Kernel(커널)"위에서 OS를 돌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커널이 있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사용하는 커널들은 2.6커널중 29, 32.9, 35커널정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아시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가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은 갤럭시 시리즈와 모토로이의 출시정도로 보시면 대충 아실법 할겁니다.
현재 안드로이드는 2.3.5 Gingerbread가 최신 버전이며, 태블릿용 안드로이드는 3.2 Honeycomb가 최신버전이지요.
이 코드네임과 버전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듯 하니 이쪽에 대해서도 잠깐 소개를 하겠습니다.
| |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 |
태블릿용 안드로이드 |
1.0 |
3.0~3.2 Honeycomb(허니콤) |
1.1 | |
1.5 Cupcake(컵케이크) | |
1.6 Donut(도넛) | |
2.0.1~2.1 Eclair(이클레어) | |
2.2 Froyo(프로요) | |
2.3 Gingerbread(진저브레드) | |
4.0 Ice Cream Sandwich(아이스크림샌드위치) |
네 뭐 이정도면 버전과 코드네임에 대해서 설명이 될 듯합니다.
버전이 달라지면서 머릿글자가 C->D->E->F->G 이런식으로 올라가는게 보이시죠?
그리고 2.3 다음이 2.4인데 왜 G->I냐고 물으신다면 옆의 허니콤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진저브레드 다음에 나온 안드로이드가 바로 이 허니콤이기 때문이죠.
iOS와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도 안드로이드 마켓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앱스토어처럼 심의를 거치지않고 릴리즈되기 때문에 악성어플이나 쓸모없는 쓰레기어플들이 많은 것은 단점이죠.
우리나라에 가장 먼저 선보인 안드로이드 기기는
바로 이 모토로라의 모토로이(XT720)모델입니다.
사진의 모토로이는 사실 서브기기용 겸 롬 개발용으로샀다곤 말못......하진 못하겠네....(???)
사실 모토로라가 안드로이드진영에선 적지않은 영향력을 보여주는 업체입니다.
(아니 어쩌다가 모토로라 이야기가 나오려고 하는거지.. 여기서 치우고)
어? iOS같기도하고... 아래는 WP7같기도한데 맞나?
하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사진 역시 안드로이드입니다.
여기서 볼 수 있는 안드로이드의 장점은 바로 이 무한한 개방성이 있기에 가능한
커스텀롬
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로고는 대표적인 안드로이드 커스텀롬인 Cyanogen Mod의 로고입니다.
CM롬 뿐만아니라 MIUI롬이니 규혁롬이니 모토갤럭시롬이니..(아 그건 내꺼잖아..) 여러가지 커스텀롬이 만들어 질 수 있는
이유 또한 바로 이 개방성에 있다는 것이죠.
또한 커스텀롬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강력한 기기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커스텀롬에 관한 내용은 제가 포스팅하는 MIUI롬이나 CM롬 등의 포스팅을 보시면 쉽고 빠르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단 커스텀롬을 설치하면 A/S가..... Orz....
지금까지 커스텀롬을 통해 독이 될 수도 있고 득이 될 수도 있는 안드로이드의 장점이자 단점인 개방성과 관련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다음 스마트폰 OS의 소개글은 Windows Mobile과 Windows Phone입니다.
다음 포스팅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혹시나 옳지 않거나 잘못된 내용, 추가했으면 하는 옳바른 정보가 있다면 꼭 이야기 주시길 바랍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스마트폰 OS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OS..그게뭐지?] 3편. Mozilla 재단의 "Boot2Gecko" (0) | 2012.06.17 |
---|---|
운영체제의 출발점부터 다른 iOS와 안드로이드. 그 구조적인 차이를 이해해보자. (7) | 2012.06.16 |
베타로 미리 만나본 iOS6, 무엇이 새로워졌을까? (2) | 2012.06.13 |
[스마트폰 OS..그게뭐지?] 2편. 삼성이 만든 "Bada OS" (2) | 2011.09.06 |